|
|
|
|
|
|
|
 |
|
 레오케미칼 소개
- 설립일
-
1998. 07 (국내 최초 EVA 차음재 개발 및 납품)
-
생산설비 및 능력
-
8단 Press 3대 外 기타설비 구비
년간 300만 ㎡ 층간소음재 생산 가능
-
당사 제품의 특징
-
1) 밀도가 높고 내구성이 우수 하여 장기 사용시에 바닥침하,
또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다
-
2) 차음 성능의 척도인 동탄성계수가 낮아 소음 저감능력이 우수하다
-
3) 뜬바닥구조로 슬래브바닥에 밀착 시공이 가능하다
-
4) 표준바닥구조 준공테스트 시 법적기준치(중량음4등급)를 100% 만족한다
-
공사 실적
-
최근에 GS건설, 포스코건설, 현대산업개발, SH공사, 삼성건설, 두산중공업 등에 주로 시공 판매하였음
2002년 이후 차음재 시공 후 입주자 및 시공사로부터 클레임은 전무한 상태임
-
-
※ 시공한 주요현장(주상복합 포함)은 다음과 같음
-
반포자이 재건축(GS건설) ⇒ 40만㎡
-
광명철산주공3단지 재건축(삼성건설) ⇒ 9만5천㎡
-
화성동탄메타폴리스(주상복합, 포스코건설) ⇒ 13만㎡
-
원주반곡 아이파크(현대산업개발) ⇒ 13만㎡
-
특기사항 및 인정현황
-
-
반포자이 재건축 관련 당사가 전량 시공 완료함
-
발명특허 : 차음용 패드관련 4건 보유중
-
인정현황
-
제품명 |
경량충격음 |
중량충격음 |
인정기관 |
래오탑(25mm) |
2급 |
4급 |
한국토지주택공사 |
래오탑100(30mm) |
1급 |
3급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EVA(Ethylene-Vinyl-Acetate)란?
-
-
■ 래오케미칼의 제품의 주재료인 EVA는 왼쪽에
보이는 분자구조를 가진 화합물로서 고압법
폴리에틸렌 중합 장치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올레핀계의 수지이다
■ 다른 종류의 PE(Poly Ehylene)계의 수지에 비하여
Vinyl Acetate 함유한 화합물질로 유연성,
탄력성이 우수하여 Ruber 대용으로 사용(운동화 중창, 안창,
중창, 기타 충격 완충재로써 자동차 전자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음)
-
■ 순수 탄소 수소 화합물로써 인체에 전혀 무해하고 소각시도 탄산 가스와 물만 발생되어 다이옥신
등의 유해 가스가 전혀 발생되지 않음
-
■ 산, 알카리, 내후성, 내구성 등이 타 소재(EPS,EPP)에 비하여 우수하여 건축물 등 사용시
장기 내구성에 전혀 문제가 없음
-
■ EVA를 주원료 로한 한 발포 성형물은 미세한 균일 독립 기포체 구조로써 단열성이 우수하고
흡수성이 없음. 또한 탄성에 의한 에너지 흡수력이 우수하고 진동 차음 성능이 타 소재에 비하여 우수함.
 Reo Top(래오탑) 성능 및 구조
 Reo-Top (래오탑) 제품 Specification
-
래오탑 PAD 기본구조
-
시험성적서
(20T 기준) |
동탄성계수 |
3.2 ~ 5.0 (MN/㎡) |
근거/시험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07.07.30)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08.07.25)
서울산업대건설기술연구원
(09.01.08)
기타 기관 |
밀도 |
60 ~ 80 (Kg/㎡)
|
가열후치수변화
|
2.0 ~ 3.5 (%) |
흡수량
|
1.0 ~ 3.0 (%) |
손실계수 |
0.14 ~ 0.21 |
열전도율 |
0.035 ~ 0.037 (W/m.k) |
-
※ 상기 제품별 기본 두께는 시공 상황 (고객요구 포함) 에 따라 증감 가능
-
래오탑 기본 뜬바닥 돌기 구조 / 두께 20 mm 예시 (단위 mm)
-
-
Reo Top(래오탑) 물성치 검사 성적서
-
시험성적서
(20T 기준) |
동탄성계수 |
3.2 ~ 5.0 (MN/㎡) |
근거/시험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07.07.30)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08.07.25)
서울산업대건설기술연구원
(09.01.08)
기타 기관 |
밀도 |
60 ~ 80 (Kg/㎡)
|
가열후치수변화
|
2.0 ~ 3.5 (%) |
흡수량
|
1.0 ~ 3.0 (%) |
손실계수 |
0.14 ~ 0.21 |
열전도율 |
0.035 ~ 0.037 (W/m.k) |
-
래오탑 PAD 시험성적서 (현장시공)
-
시험성적서
(20T 기준) |
경량충격음 차단성능 |
47 dB(2급 |
바닥슬라브두께
210 mm |
화성남양 I’PARK
09년 06월 23일 |
중량충격음 차단성능 |
48 dB(4급) |
-
Reo Top(래오탑) 요약 시험성적서
-
-
Reo Top(래오탑) 물성의 특성
-
[1] 동탄성 계수(간단한 시험방법으로 충격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시험항목, 단위 : MN/m3)가 어떤 제품,
소재보다 우수하게 설계되었음
-
동탄성계수 (MN/m3) |
저감량 (dB) |
50 |
22 |
40 |
24 |
30 |
26 |
20 |
28 |
15 |
29 |
10 |
30 |
-
상기표와 같이 동탄성 계수가 낮을수록 차음 성능이 좋음
-
※ 동탄성 계수에 영향을 주는 요소 :
① 홀(Hole)간 거리 => 슬래브 접촉면적이 적을수록 유리
② 경도 => 재질이 부드러울수록 유리
③ 내하중성 => 일정한 하중에서 침하가 적을수록 유리
-
상기 요소 中 2번, 3번은 서로 상반되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결국 제품의 구조 ,원료 배합
등의 조건이 최적화일때 차음성능이 우수함
-
[2] 복원력이 우수하고 내구성, 내하중성이 타제품보다 뛰어나 장기 사용시(30 ~ 50년)에도
바닥의 침하나 균열이 없음. 결국 래오탑은 경도와 탄성력이 동종 타제품보다 월등함
-
[3] 기타 기본 물성(손실계수, 흡수량, 열전도율등)은 법적 기준치에 만족함
-
Reo Top(래오탑)의 시공성
-
[1] 2002년 이후 당사는 래오탑 단일구조로 20T ~ 22T제품을 주로 1군 건설업체(GS건설, 포스코건설,
현대산업개발,삼성물산,현대건설 등)에 시공 판매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시공 후 클레임은 전무한 상태임
-
[2] 현장 슬래브의 다양한 조건(요철등)에도 용이하게 시공됨
-
[3] 표준실험동과 현장성능 편차가 거의 없음(±1dB). 단 슬래브 시공 편차로 인한 차음성능 편차는 있을 수 있음
-
Reo Top(래오탑)의 경제성
-
[1] 래오탑은 단일 제품으로 생산성이 우수하여 동일 재질(EVA)의 기타 제품보다 가격·경쟁력이 우수함
-
[2] 대량 생산(30T 기준 15만m2/月)이 가능하여 제품 공급에 전혀 문제가 없음
 층간 소음 완충재로서 적합성 검토
-
-
■ 상부 그림과 같이 기포콘크리트, 마감 몰타르, 바닥 마감재, 가구 등의 하중이 완충재에
그대로 전달되어 완충재의 내구성 압축강도, 반발 탄성등의 물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A.P.T
건물수명(40-100년)내에 침하가 되고 때로는 부분적 침하로 크랙이 발생됨
-
■ 단열, 차음 성능, 진동 흡수 등의 우수 성능을 확보하려면 동탄성계수 10 MN/m3 이하, 잔류
변형률(10%이하)등의 물성확보를 위해 탄성(Rubber성질)을 가진 소재가 적합
 층간소음문제 관련 실사례
-
개 요
-
진해시 00아파트에 거주하는 김00씨 등 357명이 아파트 부실시공에 따른 층간소음 피해를
입었다며 보수비용 등의 피해배상을 시행사 및 시공사에 요구하였음
-
문제점
-
양당사자가 각각 선정한 두 측정전문기관이 신청인 아파트 거실에서 측정한 경량충격음의
평균이 최고 61dB에 이르러 공동주택 거주자의 피해인정 기준인 58dB을 초과함
-
시행사, 시공사 입장
-
시행사 및 시공사는 신청인들이 거주하는 00아파트의 사업계획 신청일('04.4.2)이 바닥충
격음(경량) 기준이 적용 시점 기준일(‘04.4.22) 이전 시점이므로, 당시의 법령에 따라 구조
및 설비를 갖추어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였음
-
결 과
-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는 시행사인 (주)00건설과 시공사인 (주)00건설에 6억2천여만원을
배상하라는 재정결정을 내림
-
특이 사항
-
위원회는 경량충격음의 평균소음도가 최고 61dB로서 공동주택거주자의 수인한계를 초과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당시의「주택건설기준등에 관한 규정」에도 “공동주택의 바닥은
각 층간의 바닥충격음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음을
감안하여, 공동주택의 입주자들이 쾌적한 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도의 소음수준
을 만족시키기 위한 차음보수비 상당 금액을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판단하였음
-
-
위 사례는 법적 기준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표준바닥구조의 공동주택에서도
층간소음문제가 발생했을 시 시행사 및 시공사도 책임이 따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에
따라서 예방 차원에서 내구성이 강한 층간소음재 시공이 필요함
 건교부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기준
 층간 단열 완충재 소재별 특성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