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무발포 - 에어로플렉스(AEROFLEX)

에어로플렉스는 신축성이 좋고 가벼운 독립기포구조의 친환경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Terpolymer)고무발포보온재로써 냉수, 냉각수, 냉ㆍ난방 DUCT, 시스템에어컨, 빙축열시스템에 뛰어난 결로방지와 병원, 호텔, 주거용빌딩, 쏠라시스템, 산업용 플랜트의 옥내ㆍ외 온수배관에 탁월한 보온성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제조공정에 CFC,PVC가 함유되지 않아 Halogens-Free, Chlorine-Free가 요구되는 조선, 컴퓨터룸 및 석면이나 Fiber가 극히 제한받는 전자, 반도체, 식품, 제약, 크린룸설비에 가장 이상적인 친환경 보온ㆍ단열재이다.


:: 특징

1. 원재료
일반적으로 고무발포보온재의 원재료는 NBR(Nitile Butadiene Rubber)/PVC(Poly Vinyl Chloride)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나 AEROFLEX®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으로 구성되어 있다.

           에어로플렉스® = Halogens Free, CFCs Free, NO PVC, NO Dioxins

2. μ Factor(수증기 팽창저항계수)
일반적으로 보온재의 수명은 열전도율(λ)에 달려있으며 열전도율은 재료의 μ Factor, 흡수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낮은 μ Factor, 높은 흡수성을 가진 재료는 급속한 열전도율의 변화를 초래하여 보온재의 효율을 급속히 떨어뜨린다.

           에어로플렉스® μ≥ 10,000

3. λ(열전도율)
AEROFLEX®는 높은 μ Factor로 인하여 수명기간 내 매우 안정적인 열전도율을 유지한다.

           에어로플렉스®     λ = 0.036 W/m·K at 20℃
                                      = 0.030 Kcal/m·h·℃

4. 내후성, 내구성
일반적으로 NBR/PVC 보온재는 자외선에 좋은 재질이나 태양에 노출되었을 때 경화되어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며 페인트 또는 기타 보호막이 필요하다. 그러나 AEROFLEX는 표면에 손상을 입지 않아 페인트 또는 기타 보호막이 필요치 않다.

5. POLARITY(극)/NON POLARITY(무극)
NBR/PVC계 고무보온재는 POLA재질로 분류되는 화학적 구조로써 물과 같은 자연특성을 가지고 있다.
물과 같은 극성을 갖고 있는 이런 종류의 보온재는 물에 천천히 녹는다. 그리하여 계속적으로 생긴 결로와 표면이 접촉함으로써 표면에 손상을 입힌다. 그러나 AEROFLEX®는 NON POLA재질로써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NBR/PVC재질보다 더 좋은 방수성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재질의 극성실험을 할 수 있는데
무극성 재질은 가열되지 않으나 극성재질은 매우 뜨겁다.

           에어로플렉스® = NON POLARITY

6. 난연성
유럽(독일, 영국등등)과 미국의 시험기준은 서로 견해가 다르다. 유럽의 경우 낮은 화염확산성에 중점을 두나 연기밀도, 유독성은 크게 고려하지 않는다. 그러나 미국의 경우 화염확산성의 허용기준치는 비교적 크나 연기밀도, 유독성을 중요시한다. 화재발생시 사상자를 최소화하는데 화염확산 만큼이나 연기밀도, 유독성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AEROFLEX®는 미국(ASTM D-635, E-84, UL-94), 일본(JIS K-6911), 독일(DIN4102), 스위스(EMPA5-3)의 화연확산 테스트를 통과하여 비화염확산성과 저 연기밀도 제품으로써 양쪽 모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 ASTM E-84  ◎ JIS-K 6911                ◎ DIN 4102
 ● 화염전파(Flame Spread)  25
 ● 연기밀도(Smoke Density) 50
 ● Non-Flammable        ● B2

AEROFLEX®는 화염지연제를 Aluminium Trihydrate(ATH)를 사용함으로써 분해될 때 아래식처럼 보온재 표면을 보호하도록 수분이 나온다.

                                    250~500℃    
               2Al(OH3) ------------------- > Al2 O3 + 3H O

일반적으로 다른 제품들은 높은비율의 PVC를 함유하여 환경에도 해를 주고 유독성과 부식을 일으키는 Chlorine을 만들어낸다.

7. 유연성(신축성)
AEROFLEX®는 360˚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제품들은 안쪽 곡선부분의 벽 두께가 얇아지는 문제점이 있는데 그 이유는 신축성이 낮기 때문이며 복잡하게 구부러진 파이프에 설치하려면 더 큰 규격의 튜브를 사용해야 한다.

8. 저온에서의 AEROFLEX®
AEROFLEX®는 -57℃에서 125℃까지 우수한 물리적성질(유연성, 열전도율 등)을 유지한다.
AEROFLEX®는 -57℃에서 딱딱해지기 시작하는데 -200℃이하까지 사용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NBR/PVC계 보온재는 -10℃정도에서 딱딱해지기 시작하므로 겨울철에 설치하려면 사전에 따뜻하게 하여 부드럽게 해줘야한다. 그러나 AEROFLEX®는 항상 바로 사용할 수 있다.

9. 상온에서의 AEROFLEX®
일반적으로 NBR/PVC계 보온재는 105℃가 사용한계이나 AEROFLEX®는 125℃(175℃)까지 사용할 수 있다.

10. 내부식성
일반적으로 고무계 보온재는 고무를 Vulcanize(경화)하는데 Sulfur(황)를 사용한다. 만약 생산과정에서 Sulfur가  완전히 분해되지 않으면 제품속의 Residuum(잔여량)이 동과 재 반응을 하여 동관을 부식시킨다. 동관이 부식되면 검게 변하며 표면이 갈라져 결국 균열이 생기고 유체를 누출시킨다. AEROFLEX®는 무시할 만한 양의 Sulfur를
함유하는 Vulcanizing매체를 사용함으로써 동관을 부식시키지 않고 원래의 붉은색과 부드러움을 유지한다.

11. 항곰팡이
AEROFLEX® 는 혼합균주실험결과 어떠한 곰팡이도 성장 할 수 없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12. NITROSAMINE(발암물질)에 대한 안전성
거의 모든 합성물질은 Nitrosamine을 함유하며 공기중에 천천히 퍼져 인체에 해를 준다.
미국FDA 시험기준에 따르면 유아용 젖꼭지(Baby Nipple)의 허용기준치가 10ppb이하임을 고려할 때 일반적인 보온재는 20,000ppb, AEROFLEX®는 5ppb이하로써 인체에 해를 주지 않는다.

           에어로플렉스® = NITROSAMINES FREE

:: 용도

- 건강한 검축물의 자연친화재료(-200℃ ~ +125℃)
일반폐기물, 환경성(ISO14001환경인증), 인체무해(OHSAS18001안전보건인증)

- 무독성의 첨단, 고급 난연재료
연소시 화염확산과 불똥이 발생하지 않으며, 유독가스에 안정적.
가스유해성(KS M 2271적합), NFPA 1등급(ASTM E-84 25/50등급)
IMO, DNV, Lloyd's, NK, GB, B1, UL94, V-O/HB

- 실내공기(IAQ)를 고려한 위생적인 원재료
곰팡이균이 강하고 발안성 발암성물질로 알려진 니트로사민, 포름알데히드에
안정적이며, 다이옥신 오염원 PVC성분 불포함.

- 까다로운 공간활용의 으뜸재료
다양한 두께로의 공급가능(9T, 13T, 19T, 25T, 32T, 38T, 50T) 초고층 및
노후된 리모델링 검축물 공사에서 얇은 보온두께로의 효율성 입증.

- 우수한 결로방지의 방습재료
냉방 및 냉?난방시스템에어컨(EHP/GHP), 빙축열, 냉동냉장, LNG 냉매관 적용으로
속비닐등의 별도의 방습층 형성없이 마감가능.

- 피보온체 부식과 파티클/Out-Gasing 방지의 우선재료
동관, 오스트나이트계 SUS관 및 각종 피보온체에 대한 안정적인 재료값과
전기전자, 반도체, 원자력, 선박, 클린룸, 컴퓨터룸, 식품공장, 제약, 병원, 호텔과
같은 민감하고 쾌적한 환경설비공사에 품질보장.

- 햇빛 노출에 따른 내후성
직접적인 직사광선에도 표면의 균열 없이 장기간 내구성유지.

- 기타 외부 마감재료들의 불필요성
배관, 닥트, 후랜지, 밸브 등 별도의 테이프 및 자켓과 같은 마감재료 없이 제품자체로의
보온공사가 가능한 단순한 점착제 마감방식.

- 품질로 인정되는 해당분야 승인용 재료
미군부대 ASTM C 534 승인 및 EHP/GHP 냉ㆍ난방시스템 에어컨 냉매관 설치전용 표준자재

:: 보온통 시공예


* 구경 및 공종에 따른 에어로플렉스(EPDM) 보온통 두께
                                                                                              (단위 : mm)

공종/구경
15A
20A
25A
32A
40A
50A
65A
80A
100A
125A
150A
200A
냉.온수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급 배수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소 화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난방,급탕
(61~90℃)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19
지역난방
(91~1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 결로방지용 두꼐환경조건
    ; 외기온도30℃, 상대습도70%
 * 지역난방(91℃~125℃) : SSH제품
 * 150A까지 원통형인 TUBE제품

 

 

1. 보온재 사양

 1-1. 보온재는 EPDM재질(에어로플렉스)로 ISO14001 친환경 제품일것.
 1-2. 질기거나 PVC가 함유되어진 색상고무발포가 아닌 연질의 흑색제품일것.
 1-3. SUS관에는 염소가 0.05%이하, 동관에는 암모니아가 0.2%이하 제품일것.
 1-4. μ Factor 10,000, 0.10perm.in 이하 제품일것.
 1-5. ASTM E-84에 의거 25/50 난연제품.
 1-6. 곰팡이균주(혼합균주) 4주후에 균의 성장을 인지할수 없는 제품일것.
 1-7. -57℃~125℃에서 상시 적용할수 있는 EPDM재질의 제품일것.
 1-8. 시공 후 미관을 고려하여 흑색 접착제를 사용할 것.

 2. 보온통 시공방법

 2-1. 원통형 튜브를 배관에 그대로 끼우거나 절개한 보온통을 배관에 씌운 후 흑색 접착제를 이용하여 모든 이음부위를 접합한다. 단, 200A 이상은 판재(Sheet)를 재단하여 시공한다.
 2-2. 각 Line별 식별을 위해 2m간격으로 색상표식띠를 두른다.

admin